JTBC ‘뉴스룸’의 온라인 시청자수(자사 홈페이지+포털사이트+유튜브+팟캐스트)가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300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시청자수는 고정형TV 실시간시청률만 집계하는 현재 시청률로는 잡아낼 수 없다. ‘뉴스룸’은 타사 메인뉴스에 비해 온라인 시청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기존 고정형TV 실시간시청률집계방식의 최대 피해자란 지적도 나온다.
JTBC에 따르면 ‘뉴스룸’ 온라인 시청자수는 2016년 1월부터 9월까지 평균 500만~600만 명 수준을 유지했으나 최순실-박근혜 게이트가 시작된 10월 한 달간 1262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11월 온라인 시청자수는 2356만 명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박근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12월에는 무려 2964만 명이 ‘뉴스룸’을 온라인에서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JTBC '뉴스룸' 앵커 손석희. ⓒJTBC |
주목할 점은 유튜브다. 12월의 경우 11월에 비해 자사 홈페이지와 팟캐스트 이용자 수는 오히려 소폭 감소했고 포털 이용자 수도 100만 명 정도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유튜브 이용자수의 경우 11월 378만 명에서 12월 949만 명으로 수직상승했다. 유튜브를 즐겨 이용하는 뉴스수용자들이 ‘뉴스룸’ 시청자로 새로 진입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한국리서치가 최근 내놓은 TCR(Target Contents Reach)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하반기 ‘뉴스룸’ 시청 경험은 큰 폭으로 상승했고, 특히 모바일과 비실시간 영상클립으로 시청한 비중이 타 지상파 메인뉴스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리서치는 “‘뉴스룸’은 타 지상파 뉴스에 비해 여자, 20~30대, 학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시청자 프로파일 특성을 강조했다.
![]() |
▲ 자료=한국리서치. |
50~59세 비중의 경우 지상파 뉴스는 각각 35.9%와 33.4%를 차지했으나 ‘뉴스룸’은 23.9%에 그쳤다. 이 같은 뉴스수용자의 차이가 뉴스이용시청기기의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는 셈이다. 이를 두고 한국리서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한 뉴스 시청이 가능해지면서, TV에 집중되어 있던 뉴스 콘텐츠 시청이 각 타겟의 특징에 따라 분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대 뉴스수용자의 경우 네이버TV나 페이스북, 유튜브를 통해 ‘뉴스룸’을 시청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네이버 비중이 12.4%, 페이스북 비중이 10%, 유튜브 비중이 8.3%로 나타났다. 고정형TV시청 비중은 43.3%로 여전히 절대적 우위를 보였으나, ‘뉴스룸’의 고정형TV시청 비중이 평균 60.9%인 점에 비춰보면 낮은 수치다. (관련기사=JTBC 뉴스룸, 아직도 TV로 보시나요)
![]() |
▲ JTBC가 페이스북 이용자를 겨냥해 제작하고 있는 소셜라이브의 한 장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