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연 200억 원에 달하는 언론사 지원정책을 ‘깜짝발표’했다. ‘포털 수익배분’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선제적 대응’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론은 네이버의 약점이자 주된 수익원인 ‘검색광고’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나섰다.

네이버 수익배분, “긍정적이지만 언론생태계 위한 고민 필요”

지난 5일 오후 언론사의 인터넷 뉴스 담당자들을 초청한 ‘네이버 미디어커넥트데이’ 행사에서 가장 주목을 끈 건 언론사 수익배분을 골자로 하는 ‘PLUS(Press-Linked User Support)프로그램’ 도입이었다.

PLUS 프로그램은 ‘구독펀드’와 ‘광고수익 배분’으로 나뉜다. ‘구독 펀드’는 뉴스 이용자들이 매년 100억 원에 달하는 기금을 받고, 자신이 선호하는 언론에 구독료를 지불하게 하는 일종의 유료화 모델이다. 그동안 네이버와 ‘콘텐츠 제휴’를 맺은 언론사들은 1년 단위로 기사제공 대가인 전재료를 받았으며 기사에 붙은 광고에 대한 수익 배분은 이뤄지지 않았다.

‘광고수익배분’은 뉴스에서 발생하는 네이버 광고수익 추정액 100억 원 중 70%를 언론사에 배분하고 남은 30%를 ‘서울대-언론 팩트체크 기금’ 등 미디어 관련 예산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단, 네이버가 직접 기사를 배열하는 영역의 수익은 포함하지 않고 기사의 트래픽에 따른 수익을 배분하는 것이다.

▲ 일러스트=권범철 만평작가.
▲ 일러스트=권범철 만평작가.

네이버가 이 같은 결정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언론, 정치권 등의 전방위적인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중동 등 종합일간지가 소속된 한국신문협회는 포털이 기사 저작물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있지 않다며 ‘전재료 인상’을 요구해왔다. 자유한국당은 물론 여당 일각, 방송계, 언론노조 등에서도 포털이 ‘언론진흥기금’ ‘미디어다양성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 등을 내야 한다는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언론은 만족스럽지 않은 분위기다. 한 검색제휴 인터넷언론사 대표는 “전재료를 받지 못하던 언론은 이번에도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콘텐츠 제휴매체 중에서도 기사배치가 잘 되는 대형 언론이 기금을 대거 가져가는 양극화가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오히려 이번 펀딩을 명분으로 전재료 인상폭을 낮출 가능성도 있지 않겠나”라고 우려했다.

지난 5일 ‘미디어커넥티드데이’ 현장에서 이정환 미디어오늘 대표는 “의도와 달리 언론사 종속이 더 심해질 거라는 우려도 있다”면서 “네이버가 뉴스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뉴스를 소싱하는 방식이 계속되는 이상 개별 언론사의 브랜드도 키우기 어렵고 독자 확보나 유료화 역시 한계를 맞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포털의 몫을 재분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시도”라고 평가하며 “그러나 공급과잉 상태인 언론사에게는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포털이 콘텐츠를 구매하는 전재료 중심 모델이 아닌 언론의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지속가능한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양질의 기사를 만드는 언론이 보장받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포털의 과제”라고 밝혔다.

네이버 검색광고 정조준 나선 언론

공교롭게도 네이버 발표 이후 여러 언론이 네이버를 비판하는 기사를 쓰고 있다. 대부분 네이버가 검색 키워드를 업체에 판매하고 검색결과 상단에 노출하는 ‘검색광고’에 따른 불공정 행위 지적이다.

KBS는 지난 4일과 7일 메인뉴스를 통해 네이버가 검색광고를 비싸게 받아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본다는 대동소이한 보도를 내보냈다. 행사 전에 나간 4일 보도가 네이버와 다음을 동시에 비판했다면 행사 이후인 7일 보도에는 “국내 인터넷 검색 1위 업체인 네이버는 올해 1분기에만 검색 광고로 5000억 원을 벌어들였다”면서 네이버만 비판했다. 7일 KBS 공감토론 주제는 “네이버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었다.

연합뉴스는 “‘N페이에 유리하게’ 검색광고 개편 추진 논란” 등 5일 이후 네이버를 비판하는 기사만 6건에 달한다. 대부분 네이버가 검색광고와 일반 콘텐츠를 제대로 구분하지 않아 부당한 이익을 취했다는 내용이다. MBC 역시 5일 “돈 내면 더 노출, 네이버 모바일 광고 불공정행위 논란”을 내보냈다.

▲ 포털 검색광고 문제를 비판한 KBS 보도화면 갈무리.
▲ 포털 검색광고 문제를 비판한 KBS 보도화면 갈무리.

검색광고 불공정성 문제는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지만 언론이 최근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한 점은 포털의 ‘검색광고 수익’ 배분 요구와 관련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검색광고는 검색결과 상단의 검색 키워드 관련 광고주 사이트를 노출하는 것으로 업체들이 경매 방식으로 키워드를 구입하는 것으로 네이버 매출의 70~80%가량을 차지한다. 네이버가 발표한 펀드는 ‘검색광고에 따른 수익’을 포함한 기금이 아닌 ‘언론 기사 트래픽에 따른 수익’으로 한정했다. 신문협회가 최근 세미나를 통해 발표한 전재료 인상안에는 검색광고에 따른 수익도 포함돼 있기도 하다.

최근 국내외에서 포털 규제 논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포털의 광고 몫을 줄이면 언론 광고 몫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KBS 뉴스9는 “지난해 네이버는 국내 광고로 2조3000억 원, 카카오는 5000억 원을 벌어들였다”면서 “국내 모든 방송과 신문 광고 매출을 다 합친 것보다 많다”며 언론과 포털의 광고수익을 직접적으로 비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