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이 지난 16일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물꼬를 트게 된 데는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력이 컸다”고 평가했다. 

지난 18일 발행된 조선일보 사보에는 16일부터 이틀 동안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 참석자들 발언과 뒷이야기가 담겨 있다. ALC는 9회째 맞는 행사로 올해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미, 미·북 정상회담이 임박한 시기에 열려 주목됐다.

방 사장은 개회사에서 한·미 양 정상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이제부터 시작이다. 오는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가늠할 첫 시험대가 될 것이고 그 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을 위해선 핵폐기 검증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 지난 18일 발행된 조선일보 사보에는 16일부터 이틀 동안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 참석자들 발언과 뒷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선일보는 사보 1면에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과 이낙연 국무총리가 나란히 앉아있는 사진을 실었다. 사진=조선일보 사보
▲ 지난 18일 발행된 조선일보 사보에는 16일부터 이틀 동안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 참석자들 발언과 뒷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선일보는 사보 1면에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과 이낙연 국무총리가 나란히 앉아있는 사진을 실었다. 사진=조선일보 사보
방 사장은 비핵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선 “한·미 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해야 할 뿐 아니라 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국들의 지속적이고 빈틈없는 국제 공조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 뒤 “북한이 정상국가로 변화하기 위해 노력을 다한다면 대한민국도 북한에 전폭적인 지원과 협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 사장은 “다만 경제 협력이 활발해지더라도 성장의 열매가 북한 주민들에게 돌아가야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며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가 개선돼야 북한도 지속적인 체제 유지를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방 사장은 또 “19세기 말 열강들이 한반도를 둘러싸고 패권 다툼을 벌이던 과거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한반도 미래는 온전히 한민족 주권과 번영이 담보되는 것을 전제로 추구돼야 한다”고 했다.

방 사장은 개회사 말미에 “나는 조선일보 창간 95주년 기념사에서 ‘100주년 기념식은 평양에서 개최하고 싶다’고 말했는데 이는 한반도 미래가 통일에 달려있기 때문”이라며 남북 통일을 강조했다.

조선일보는 이번 행사를 “20여 개국으로부터 외국 연사 143명과 국내 연사 61명 등 총 204명이 참여해 전년(160명)보다 40여명 많았다. 딕 체니 전 미국 부통령과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얀 페터르 발케넨더 전 네덜란드 총리 등 전직 수반급을 포함, 전·현직 장관급 이상만 11명의 외국 연사들이 참석했다. 행사의 세션 수는 80개로 전년의 60개보다 20개가 늘었고, 유료 등록자 규모도 2200여명에서 2500여명으로 300명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선일보 콘퍼런스에는 앞서 일정을 이유로 한국일보 포럼과 한겨레 창간 기념식에 불참했던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해 언론계 일각에서 뒷말이 나왔다. 고위 인사 참석 여부가 매체 영향력과 권위에 직결된다는 인식에 비춰보면 조선일보의 위세를 가늠할 수 있다.

실제 조선일보 행사 동원력은 막강하다는 평가다. 과거 김인규 전 KBS 사장은 “조선일보 창사 기념 행사장에 갔을 때 한 (조선일보) 기자가 끝까지 따라 붙어서 중간에 못 가게 하더라”며 “불편한 것 없냐는 등 두 시간 동안 (붙어 있었다.) 각자가 맡은 사람의 동향을 메모해서 (윗선에) 제출한다. 대한민국에서 방귀 뀌는 사람들 다 모였었다. 편집국 기자 다 동원하는 응집력이 놀랍더라”고 말한 바 있다.

조선일보도 사보에서 “드루킹 특검과 추경 등을 놓고 40여일 간 파행했던 국회가 정상화되면서 참석을 확약했던 국회·정부의 고위 인사들이 국회 예결위 등을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혀왔다. 박두식 편집국장이 심야에 정부 고위 인사들과 통화하면서 일정을 직접 조율했고, 편집국 라인이 총동원됐다”고 밝힌 뒤 행사 성과에 대해서도 “정치부, 경제부, 산업1·2부, 사회부, 사회정책부, 문화부 등 편집국 전 부서가 일치단결, 행사 성공을 위해 발벗고 나선 결과”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