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가 8일 서울 상암동 MBC사옥 앞에서 MBC규탄 집회를 열었다. MBC가 6일 <뉴스데스크>에서 세월호 참사 배상 관련 여야 합의를 두고 단원고 학생의 대입 ‘특별전형’을 강조하며 악의적으로 사실관계를 왜곡했다는 이유였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 수십여 명이 참사관련 불공정보도를 규탄하기 위해 언론사 앞에 모인 것은 지난해 KBS 이후 사실상 처음이다. 이날 집회는 단순히 MBC 규탄 의미를 넘어 참사 당시 ‘기레기’로 불리며 비판받았던 언론이 유가족 입장에선 여전히 그대로라는 상징적 의미가 강했다. 그러나 이날 방송사 메인뉴스에서는 유가족의 집회 리포트를 찾을 수 없었다.   

세월호 가족대책위는 MBC에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특별법의 수많은 내용 중 유독 대학특례만을 부각시켜 보도하면서 특별법이 정하고 있는 대학특례가 대학의 자율적 결정에 달려 있어 확실히 보장된 것도 아니고 설사 시행된다 하더라도 정원 외이기에 다른 학생들에게 아무런 피해가 가지 않는다는 사실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1월 7일 세월호 가족대책위와 언론노조 등이 서울 상암동 MBC사옥 앞에서 MBC보도 규탄집회를 여는 모습. ⓒ언론노조
 

가족대책위는 이날 MBC보도본부 측에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공정하고 중립적 태도 견지 △충분한 사실 확인과 정보취합을 통한 정확한 보도 △MBC 보도로 인해 참사 희생자들이 입었던 상처에 대한 반성과 사과 △구체적 이행을 위한 유가족 면담을 요구했다. 이날 이진숙 보도본부장은 가족대책위 요구에도 불구, 나타나지 않았다. 8일 <뉴스데스크>에서도 관련 리포트는 없었다. 대신 <대북전단 10만장 훼손 6명 검거…“절반은 통진당 당원”> 등의 리포트만 눈에 띄었다.

KBS <뉴스9> 역시 관련 리포트는 없었다. SBS <8뉴스>도, JTBC <뉴스룸>도, TV조선 <뉴스쇼 판>에서도 가족대책위의 주장이 담긴 리포트를 찾을 수 없었다. 가족대책위는 이날 집회에서 MBC를 향해 “지난해 9월 11일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광화문에서 농성을 벌인 우리 가족들을 ‘불법집단’으로 매도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분명 논란이 된 리포트 하나로 열린 집회는 아니었다. 하지만 대다수 언론이 이날의 장면을 외면했다. 

   
▲ 8일 세월호 가족대책위 집회를 촬영중인 MBC 카메라. 그러나 MBC에선 관련 리포트가 나오지 않았다. ⓒ김도연 기자
 
   
▲ 세월호 가족대책위가 MBC에 항의서한을 전달하러 가는 장면을 언론사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다. ⓒ언론노조
 

신문도 마찬가지였다. 조선‧중앙‧동아일보를 비롯해 진보성향으로 분류되는 한겨레‧경향신문 등 중앙일간지에서도 관련 기사는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지난해 ‘전원구조’ 오보 참사 이후 세월호 피해가족이 국가재난주관방송사 KBS로 항의방문을 했던 당시의 언론보도와 큰 차이를 보인다. 당시 상황과 현 상황은 본질적으로 같다. 희생자 가족은 여전히 가슴에 멍이 있고, 사건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처벌받아야 할 사람들은 처벌받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가 반복될 수 있는 구조적 문제 또한 여전하다. 그러나 참사 당시 집중됐던 피해자가족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졌다. 이들의 MBC규탄 집회는 1단으로 처리할 가치도 없는 사건이었을까. 단신리포트로 보도할 사안도 아니었던 것일까. 언론 스스로 언론에 대한 비판에 눈 감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이날 규탄집회에 침묵한 MBC만을 비판해선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그 많던 카메라와 기자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